맨위로가기

썸 오브 올 피어스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썸 오브 올 피어스》는 2002년에 개봉한 영화로, 1973년 핵무기를 탑재한 이스라엘 군용기 격추 사건을 시작으로, 미국과 러시아 간의 핵전쟁 위기를 다룬다. 네오 나치 단체가 미국과 러시아의 전쟁을 일으키려 핵폭탄을 터뜨리면서, CIA 분석가 잭 라이언이 사건을 해결하고 핵전쟁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영화는 벤 애플렉, 모건 프리먼, 제임스 크롬웰 등이 출연했으며, 톰 클랜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영화는 개봉 후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박스오피스에서는 성공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톰 클랜시 원작의 영화 작품 - 잭 라이언: 코드네임 쉐도우
    톰 클랜시의 잭 라이언 시리즈를 리부트한 2014년 미국 액션 스릴러 영화 《잭 라이언: 코드네임 쉐도우》는 크리스 파인이 CIA 요원 잭 라이언 역을 맡아 러시아 정부의 테러 음모를 막는 과정을 그린다.
  • 제3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 한 영화 - 테넷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테넷》은 시간을 거꾸로 되돌리는 기술을 사용하는 비밀 조직에 합류한 CIA 요원이 미래의 인류 멸망을 막기 위해 러시아 재벌의 음모를 막는 공상과학 스파이 액션 영화로, 시간 역행 설정과 복잡한 플롯, 배우들의 열연으로 호평과 혹평이 엇갈렸지만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다.
  • 제3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 한 영화 - 스파이 대소동
    존 랜디스 감독의 영화 스파이 대소동은 체비 체이스와 댄 애크로이드 주연으로, 어설픈 스파이들이 소련 미사일 탈취 작전에 투입되며 벌어지는 코미디 영화이며, 폴 매카트니가 주제가를, 엘머 번스타인이 영화 음악을 맡았다.
  • 2002년 스릴러 영화 - 링 (2002년 영화)
    2002년 개봉한 미국 공포 영화 《링》은 고어 버빈스키 감독, 나오미 왓츠 주연으로, 동명의 일본 영화를 리메이크하여 저주받은 비디오테이프의 비밀을 파헤치는 기자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2002년 스릴러 영화 - 존 큐
    《존 큐》는 덴절 워싱턴 주연의 2002년 미국 영화로, 아들의 심장 이식 수술비를 위해 병원 응급실에서 인질극을 벌이는 아버지 존 큐의 이야기를 통해 미국 의료 체계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보여준다.
썸 오브 올 피어스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영화 정보
영화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제목토탈 피어스
원제The Sum of All Fears
감독필 알덴 로빈슨
각본폴 아타나시오
대니얼 파인
원작톰 클랜시의 소설 공포의 총합
제작메이스 뉴펠드
제작 총괄톰 클랜시
스트래턴 레오폴드
출연벤 애플렉
모건 프리먼
제임스 크롬웰
리브 슈라이버
앨런 베이츠
필립 베이커 홀
론 리프킨
브루스 맥길
음악제리 골드스미스
촬영존 린들리
편집닐 트래비스
니콜라스 드 토스
제작사메이스 뉴펠드 프로덕션스
MFP 뮌헨 필름 파트너스
S.O.A.F. 프로덕션스
파라마운트 픽처스
배급사파라마운트 픽처스
도호-토와 (일본)
개봉일2002년 5월 29일 (로스앤젤레스 시사회)
2002년 5월 31일 (미국)
2002년 8월 10일 (일본)
상영 시간124분
제작 국가미국
독일
언어영어
제작비6,800만 달러
흥행 수익1억 9,400만 달러
21억 엔 (일본)

2. 줄거리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중, 핵무기를 탑재한 이스라엘 군용기가 격추된다. 2002년, 시리아의 고물 수집가는 골란 고원의 한 들판에 묻혀 있던 불발탄을 발견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암시장 무기 밀매상에게 판매한다. 이 무기 밀매상은 핵폭탄을 오스트리아 억만장자 리차드 드레스러가 이끄는 네오 나치 단체에 판매한다. 드레스러의 목표는 미국러시아 간의 전쟁을 일으켜 두 나라를 파멸시키고, 통일된 파시스트 유럽이 세계를 지배하게 하는 것이다.

중앙 정보국(CIA) 분석가 잭 라이언은 중앙 정보국 국장 윌리엄 캐벗과 함께 새로 취임한 러시아 대통령 알렉산더 네메로프를 만나기 위해 모스크바로 간다. 그곳에서 캐벗과 라이언은 START I 조약에 따라 러시아 핵무기 시설을 조사하게 되는데, 라이언은 시설 명단에 있는 세 명의 과학자가 부재중임을 알아차린다. 캐벗은 크렘린 내부의 기밀 정보원 "스피나커"로부터 정보를 입수하고, 요원 존 클라크를 러시아에 보내 조사하게 한다. 클라크는 실종된 과학자들을 우크라이나의 옛 소련군 시설에서 발견하고, 캐벗은 그들이 러시아가 은밀히 사용할 수 있는 비밀 핵무기를 제조하고 있다고 의심한다. 당시 러시아와 미국의 관계는 러시아의 제2차 체첸 전쟁으로 인해 악화된 상태였다.

라이언과 동료들은 우크라이나 시설에서 나온 상자가 카나리아 제도로 운송된 후, 화물선을 통해 볼티모어로 보내졌다는 것을 알아낸다. 라이언은 미국 대통령 로버트 파울러와 함께 볼티모어에서 풋볼 경기를 관람 중이던 캐벗에게 폭탄 위협을 경고한다. 파울러는 폭탄이 터지기 전에 대피하지만, 경기장은 파괴되고 캐벗은 치명상을 입는다. 설상가상으로, 드레스러에게 매수된 부패한 러시아 공군 장군이 미국 항공모함을 공격하도록 전투기를 보내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미국은 러시아가 핵 공격을 감행했다고 믿게 된다.

라이언은 방사능 평가팀으로부터 핵폭발의 동위원소 지문이 미국에서 제조된 것임을 나타내는 증거를 얻게 되어, 러시아의 혐의를 벗겨주는 듯하다. 시리아에서 클라크는 방사능 피폭으로 죽어가는 고물수집상을 추적한다. 그는 클라크에게 무기 밀매상에게 폭탄을 팔았고, 무기 밀매상은 다마스쿠스에 살고 있다고 말한다. 랭글리에 있는 라이언의 동료들은 무기 밀매상의 컴퓨터에 침투하여 플루토늄을 구입하고 핵전쟁 배후에 드레스러가 있음을 보여주는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라이언은 국가 군사 지휘 센터에 연락하여 네메로프에게 메시지를 보내, 러시아가 공격 배후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동시에 선의의 표시로 일방적으로 병력을 철수해 줄 것을 요청한다. 네메로프는 이에 동의하고, 파울러도 따라 한다. 무기 밀매상과 드레스러를 포함한 공격 배후들은 암살된다. 파울러와 네메로프는 백악관에서 공동 연설을 통해 핵 확산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발표하고, 라이언과 그의 약혼녀 캐서린 뮬러 박사가 이를 듣는다. 스피나커는 네메로프의 선임 고문 아나톨리 그루슈코프였음이 밝혀지고, 캐서린에게 약혼 선물을 준다.

3. 등장인물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소프트판)일본어 더빙 (후지 TV판)
잭 라이언 (CIA 분석관)벤 애플렉호리우치 겐유야마데라 코이치
CIA 국장 윌리엄 캐벗모건 프리먼사카구치 요시사다이케다 마사루
로버트 파울러 대통령제임스 크롬웰쓰카야마 마사네나카무라 마사
존 클라크리브 슈라이버코야마 리키야야마지 카즈히로
베커 국방장관필립 베이커 홀후지모토 조
리처드 드레스러앨런 베이츠무기토오가와 신지
캐시 말러브리짓 모이나한사와우미 요코타나카 아츠코
시드니 오웬스 국무장관론 리프킨코야마 타케히로사사키 카츠히코
진 리벨 국가 안보 보좌관브루스 맥길키타가와 카츠히로이나가키 타카시
Александр Немеров|알렉산드르 네메로프ru 러시아 대통령키아란 힌즈이시즈카 운쇼야라 유사쿠
글루슈코프 (러시아 연방 정치 고문)마이클 번사사키 우메지나야 로쿠로


  • '''잭 라이언''': 벤 애플렉이 연기했다. CIA의 젊은 분석가로, 뛰어난 분석력과 직관력으로 핵전쟁 위기를 막기 위해 노력한다.
  • '''윌리엄 캐벗''': 모건 프리먼이 연기한 CIA 국장이다. 잭 라이언을 신뢰하며 지지한다.
  • '''로버트 파울러 대통령''': 제임스 크롬웰이 연기했다. 핵 공격 위협에 직면하여 국가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고뇌한다.
  • '''Александр Немеров|알렉산드르 네메로프ru 러시아 대통령''': 키어런 하인즈가 연기했다. 체첸 분쟁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인다.
  • '''존 클라크''': 리브 슈라이버가 연기한 중앙 정보국(CIA)의 비밀 요원이다.
  • '''리처드 드레스러''': 앨런 베이츠가 연기한 네오 나치 단체의 수장이다.
  • '''캐시 뮬러''': 브리짓 모이너핸이 연기한 잭 라이언의 약혼녀이자 의사이다.


분류:영화 등장인물

3. 1. 잭 라이언

벤 애플렉이 잭 라이언 역을 맡았다. CIA의 젊은 분석가로, 뛰어난 분석력과 직관력으로 핵전쟁 위기를 막기 위해 노력한다. 소설에서는 정보 담당 부차관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영화에서는 젊은 애널리스트로 등장한다. 벤 애플렉의 지적인 이미지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

3. 2. 윌리엄 캐벗

모건 프리먼이 연기한 CIA 국장이다. 잭 라이언을 신뢰하며 지지하고, 함께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러시아와의 핵전쟁 위기를 막기 위해 노력하지만, 볼티모어 핵폭발 테러로 인해 치명상을 입고 사망한다.[1] 그의 죽음은 라이언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사건 해결의 동기를 부여한다.

모건 프리먼의 중후한 연기력은 영화에 무게감을 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3. 3. 로버트 파울러

제임스 크롬웰이 연기한 미국 대통령 J. 로버트 파울러는 핵 공격 위협에 직면하여 국가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고뇌한다. 볼티모어에서 핵폭탄이 터지기 전, 파울러는 잭 라이언의 경고를 받고 대피하지만, 경기장은 파괴되고 중앙 정보국 국장 윌리엄 캐벗은 치명상을 입는다.

파울러는 러시아가 핵 공격을 감행했다고 믿고 러시아와의 전면전을 막기 위해 노력한다. 그는 러시아 대통령 알렉산더 네메로프와 핫라인을 통해 대화하며, 라이언의 노력으로 러시아의 혐의가 벗겨지자, 일방적인 병력 철수를 지시한다. 네메로프 역시 이에 동의하여 핵전쟁의 위기는 해소된다.

이후 파울러는 네메로프와 백악관에서 공동 연설을 통해 핵 확산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발표한다. 극중 대통령의 결단은 핵 위협에 직면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3. 4. 알렉산더 네메로프

Александр Немеров|알렉산드르 네메로프ru는 러시아의 대통령으로, 체첸 분쟁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지만, 잭 라이언과의 협상을 통해 핵전쟁을 막는 데 기여한다. 키어런 하인즈가 연기했다.

3. 5. 존 클라크

리브 슈라이버가 연기한 존 클라크는 중앙 정보국(CIA)의 비밀 요원이다. 잭 라이언을 도와 현장에서 활약하며, 크렘린 내부의 기밀 정보원 "스피나커"로부터 정보를 입수한다. 러시아에 잠입하여 실종된 과학자들을 추적하고, 시리아에서 방사능 피폭으로 죽어가는 고물 수집상을 심문하여 핵폭탄의 출처를 알아내는 등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3. 6. 리처드 드레스러

앨런 베이츠가 연기한 리처드 드레슬러는 네오 나치 단체의 수장이다. 그는 미국러시아 간의 전쟁을 일으켜 두 나라를 파멸시키고, 통일된 파시스트 유럽이 세계를 지배하게 하려는 음모를 꾸민다.

3. 7. 캐시 뮬러

브리짓 모이너핸이 잭 라이언의 약혼녀이자 의사인 캐시 뮬러 역을 연기했다. 캐시 뮬러는 잭 라이언에게 힘이 되어 준다.

4. 제작 과정

영화 《썸 오브 올 피어스》는 톰 클랜시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 개발: 1991년 파라마운트 픽쳐스가 영화 판권을 협상했으나, 원작자 톰 클랜시가 이전 각색에 불만을 품어 난항을 겪었다. 이후 합의를 통해 제작이 진행되었지만, 프로듀서 메이스 뉴펠드는 테러리즘 등의 민감한 주제 때문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 각본: 기본적인 줄거리는 원작과 같지만, 테러리스트 집단이 아랍 민족주의자에서 네오 나치로 변경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다. 이는 9.11 테러 이전의 결정으로, 줄거리 전개상의 이유와 국제 관객층을 고려한 선택이었다.
  • 촬영: 2001년 2월부터 6월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오타와 등지에서 촬영이 진행되었다. 미국 육군과 CIA 등의 협조를 받아 제작되었다.
  • 음악: 제리 골드스미스가 영화 음악을 작곡했으며, 2002년과 2014년에 각각 오리지널 앨범과 확장판 앨범이 발매되었다.

4. 1. 개발

파라마운트 픽쳐스(Paramount Pictures)는 1991년 톰 클랜시(Tom Clancy)와 《썸 오브 올 피어스》의 영화 판권 계약을 협상했으나, 《패트리어트 게임》 각색에 대한 클랜시의 불만으로 협상이 중단되었다.[3] 결국 클랜시는 브랜든 타르티코프(Brandon Tartikoff) 사장과 거액의 합의를 거쳐 동의했다. 그러나 프로듀서 메이스 뉴펠드(Mace Neufeld)는 1994년 《긴급 지령》이 《블랙 선데이》와 유사하고 테러리즘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같은 논쟁적인 주제를 다룬다는 우려 때문에 영화 각색에 소극적이었다.[4]

1년 동안 톰 클랜시(Tom Clancy)의 《크렘린의 추기경》 각색이 시도되었지만, 너무 어렵다는 결론이 내려졌다.[5] 《명예의 빚》 각색이나 클랜시의 다른 작품과 관련 없는 새로운 시나리오도 고려되었다.[4]

1999년 10월, 해리슨 포드는 다음 잭 라이언 영화가 《썸 오브 올 피어스》가 될 것이며, "희망적으로 영화를 만들 수 있는 단계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6] 이 기간 동안 작가 아키바 골드스먼(Akiva Goldsman)이 여러 번 시나리오 초안을 작성했다.[7] 그러나 2000년 6월 8일, 포드와 감독 필립 노이스가 시나리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포드가 하차했다.[8]

이후 벤 애플렉이 잭 라이언을 젊은 시절로 묘사하여 시리즈를 재시작하는 1000만달러 계약으로 캐스팅되었다.[9] 애플렉은 알렉 볼드윈과 해리슨 포드의 지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애플렉이 합류한 지 몇 달 후, 필 알덴 로빈슨 감독이 연출을 맡게 되었다.[10]

4. 2. 각본

영화 각본은 기본적인 줄거리는 책과 같지만,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DVD 음성 해설에서 톰 클랜시는 자신을 "그가 [클랜시와 함께 있는 필 알덴 로빈슨 감독] 무시한 책의 저자"라고 농담으로 소개하며, 영화의 사실적 부정확성과 원작과의 차이점에 대해 비웃었다.[11]

가장 큰 변화는 테러리스트 집단의 변경이다. 소설에서는 아랍 민족주의자였지만, 영화에서는 네오 나치로 바뀌었다. 이는 9.11 테러에 대한 반작용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영화는 2001년 6월에 촬영을 마쳐, 9.11 테러 이전에 변경된 것이다.

알덴 로빈슨 감독은 이 변경이 순전히 줄거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랍 테러리스트는 이야기에 필요한 모든 것을 그럴듯하게 해낼 수 없었고, 책 속 테러리스트들은 소설 출판 전에 이미 존재하지 않게 된 동독의 지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미국-이슬람 관계 위원회(CAIR)는 "무슬림 악당"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 2년간의 로비 활동을 벌였다.[12]

시나리오 작가 댄 파인은 아랍 테러리스트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해 "아마도 그것이 클리셰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요르크 하이더가 오스트리아에서 막 활동하기 시작했고, 네덜란드에서 신민족주의 활동이 있었고,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도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다. 그래서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아이디어가 될 것 같았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수익의 더 큰 비율이 국제 관객에서 나오며, 미국의 영화 제작자들은 이 고객층의 큰 부분을 소외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도 언급되었다.[13]

영화에서는 테러리스트가 네오 나치와 KKK를 중심으로 한 극우 단체의 연합 세력으로 설정되었다. 악역들은 국가주의자인데 국가의 틀을 넘어 연대하고 있다는 부자연스러운 집단이다. 유럽 극우 단체의 거물들은 과거 냉전 시대에 유럽 각국이 미국과 구소련에 휘둘린 경험 때문에 반미, 반러 감정에 사로잡혀 있다. 극 중 드레스러는 클린턴 대통령과 모니카 르윈스키의 불륜 스캔들을 비꼬며 "미국에 원조를 구하는 것은 처녀가 클린턴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과 같다"라고 발언한다.

주인공 잭 라이언은 소설에서는 CIA 정보 담당 부차관이지만, 영화에서는 박사 학위를 가진 CIA의 젊은 애널리스트(정보 분석관)로 설정되었다. 이는 주인공 배역의 젊은화를 시도한 설정 변경이며, 다른 잭 라이언 시리즈 작품(영화)의 전일담이라는 위치를 가진다.

미국에서 핵폭발이 일어나는 장면 등은 CG를 활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핸드헬드 카메라를 다용하여 다큐멘터리 영상과 같은 긴박감, 현실감을 얻었으며, 패닉의 모습을 훌륭하게 표현하고 있다.

4. 3. 촬영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2001년 2월 12일에 《썸 오브 올 피어스》의 주요 촬영이 시작되었다.[14] 영화의 대부분은 몬트리올에서 촬영되었으며, 여기에는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촬영된 미식축구 경기 장면도 포함된다.[15] 디펜벙커(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 소재)에서도 추가 촬영이 진행되었다.[16] 제작은 2001년 6월에 완료되었다.[5] 항공모함 USS ''존 C. 스테니스''의 내부 장면은 텔레비전 드라마 ''JAG''에서 사용된 세트에서 촬영되었다.[17]

미국 육군은 영화를 위해 전투기, 헬리콥터, 지상 차량 및 군인을 제공했으며, 미국 국가 공중 작전 센터와 CIA는 몬트리올 촬영 현장 자문역을 맡았다. 펜타곤은 항공모함 폭파 장면이 주는 인상 때문에 이를 싫어했고, 그 결과 해당 장면은 다시 쓰여졌다.[18]

4. 4. 음악

영화 ''썸 오브 올 피어스''의 음악은 제리 골드스미스가 작곡했다. 사운드트랙 앨범은 2002년 6월 4일 일렉트라 레코드(Elektra Records)에서 발매되었으며,[19] 2014년 3월 12일에는 La-La Land Records에서 확장판이 발매되었다.[21]

골드스미스의 스코어 외에도, 사운드트랙에는 타비사 페어의 "If We Get Through This"와 자코모 푸치니의 "네순 도르마"(Nessun dorma)와 같은 소스 음악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앨범에는 싱어송라이터 폴 윌리엄스가 공동 작사한 골드스미스의 주요 테마를 보컬로 해석한 두 트랙("If We Could Remember"와 "The Mission")이 수록되어 있다.[20]

오리지널 앨범의 총 길이는 49분 30초이며, 2014년에 발매된 확장판의 총 길이는 78분 48초이다.
트랙 목록

썸 오브 올 피어스 (영화) (음악): 일렉트라 (Elektra) (49:30)썸 오브 올 피어스 (영화) (음악): La-La Land: 추가 자료는 굵게 표시 (78:48)


5. 평가

《썸 오브 올 피어스》는 2002년 5월 31일에 극장 개봉되었다. 원래는 2001년 말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9.11 테러의 영향으로 연기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10] 필 알덴 로빈슨 감독은 2000년 8월에 이미 2002년 여름 개봉을 목표로 했다고 밝혔지만,[10] 9.11 테러 이후 테러리즘을 다룬 첫 영화였기 때문에, 사건 발생 9개월 만에 개봉하는 것은 너무 충격적이라는 비평도 있었다.[22][23]

영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로튼 토마토메타크리틱의 평점은 각각 59%와 45점으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했다. 영화의 폭력적인 내용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특히 9.11 테러 직후 개봉 시기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5. 1. 흥행 성적

영화 ''썸 오브 올 피어스''는 개봉 주말에 31100000USD를 벌어들여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스타워즈 에피소드 2: 클론의 습격''을 제쳤다.[36] 박스 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이 영화는 미국에서 118907036USD, 해외에서 75014336USD를 벌어들여 68000000USD의 제작비를 쉽게 회수했다.[2]

5. 2. 비평

로튼 토마토는 17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론가 59%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5.90/10이라고 보고했다. 로튼 토마토의 평론가들은 "현재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새로운 무게감을 갖게 된, 매끄럽고 잘 만들어진 스릴러"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25] 메타크리틱에서는 35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45점을 받았다.[26]

피터 트래버스벤 애플렉해리슨 포드가 권위 있게 채웠던 역할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27] 리처드 로에퍼는 영화가 따라가기 어렵고, 풋볼 경기장이 핵 공격을 받는 장면은 소름 끼친다고 평가했다.[27] ''시카고 트리뷴''의 마이클 윌밍턴은 이 영화를 "깊이나 공명이 없는 믿을 수 없는 종말"이라고 칭했고,[28] ''뉴욕'' 매거진의 피터 레이너는 "영화는 우리의 모든 두려움의 합에 의해 압도되었다"고 평가했다.[29]

반면, ''더 아거스''는 모건 프리먼이 윌리엄 캐벗 캐릭터에 진정성을 부여했다고 칭찬했다.[30] 로저 이버트는 영화에 별 4개 중 3.5개를 주면서, "신 나치 사용은 정치적 올바름의 결과이다: 관객을 불쾌하게 하지 않을 악당을 만들어내는 것이 최고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폭탄 공격 이후 볼티모어에서 잭 라이언의 단독 행동은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31] 이버트는 소설의 아랍 테러리스트 악당을 신 나치로 바꾼 것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다.[32][33]

매튜 앨포드는 ''리얼 파워: 할리우드 시네마와 미국의 패권''에서 영화 속 미국 정치 인물들이 자비롭게 행동하며, "대통령과 그의 보좌관들이 무력을 행사할 때는 비통한 마음으로, 러시아가 물러서도록 '억제'를 보여주는 방식으로만 한다. 그들은 과도한 폭력을 사용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라이언의 도움을 받아 핵전쟁을 피하는 데 성공한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그는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미국 국가 안보 국가와 그 동맹국의 막대한 은밀한 권력을 찬양하고 가볍게 만든다"고 주장했다.[34]

''슬랜트'' 매거진의 에드 곤잘레스는 9.11 테러 공격이 발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개봉된 이 영화의 폭력적인 내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35]

5. 3. 수상 내역

이 영화는 "영화 부문 최고의 보조 시각 효과"로 시각 효과 협회 상을 수상했다. 수상자는 글렌 노이펠드, 데릭 스피어스, 댄 말빈, 알 디사로였다.[37]

6. 영화와 현실

영화는 제2차 체첸 전쟁을 배경으로 하여 당시 긴장감이 고조되었던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를 묘사하는 등 실제 사건과 국제 정세를 반영하여 현실감을 높였다. 이러한 갈등 상황은 네오 나치와 같은 극단주의 세력이 핵무기를 이용하여 강대국 간의 핵전쟁을 유발하려는 시도로 이어진다.[1]

영화 속 사건들은 국제 관계에서 오해와 불신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특히 핵무기와 관련된 정보의 부족이나 오판은 전 세계적인 위기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게도 외교적 교훈을 준다.

6. 1. 영화 속 핵전쟁 위기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당시 핵무기를 탑재했던 이스라엘 군용기가 격추되었고, 이때 실종된 핵폭탄이 2002년 네오 나치 조직에 의해 볼티모어에서 터지면서 미국러시아 간의 핵전쟁 위기가 고조된다. 중앙정보국(CIA) 분석가 잭 라이언은 핵폭발 배후에 러시아가 아닌 다른 세력이 있음을 밝혀내고, 양국 대통령에게 이를 알려 핵전쟁을 막기 위해 노력한다.[1]

핵폭발 동위원소 지문 분석 결과, 폭탄은 미국에서 제조된 플루토늄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져 러시아의 혐의는 벗겨진다. 라이언은 국가 군사 지휘 센터에 연락하여 러시아 대통령 네메로프에게 러시아의 공격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리고, 상호 간 신뢰 회복을 위해 병력 철수를 제안한다. 네메로프는 이 제안을 받아들이고, 미국 대통령 파울러도 이에 동의하면서 핵전쟁 위기는 해소된다.[1]

이 사건은 핵무기 확산의 위험성과 강대국 간 오해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특히, 한반도 안보 상황과 관련하여 핵무기의 위협은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는 남북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는 국제 협력을 통해 핵 위협을 줄이고 평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2. 국제 관계

중앙 정보국(CIA) 분석가 잭 라이언은 러시아미국 간의 핵전쟁 위협을 막기 위해 노력한다. 영화는 제2차 체첸 전쟁으로 인해 악화된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를 묘사한다. 핵무기를 둘러싼 음모와 오해는 두 강대국 간의 불신을 심화시키고, 이는 대한민국에게도 외교적 교훈을 준다.

라이언은 방사능 평가팀으로부터 핵폭발의 동위원소 지문이 미국에서 제조된 것임을 나타내는 증거를 얻어 러시아의 혐의를 벗기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정보는 국제 관계에서 객관적 증거와 정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시리아에서 존 클라크 요원의 활동과 라이언 동료들의 정보 수집은 분쟁 해결에 있어 정보기관의 역할을 강조한다. 특히, 랭글리에 있는 라이언의 동료들이 올슨의 컴퓨터에 침투하여 플루토늄 구입과 관련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장면은 사이버 정보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라이언은 국가 군사 지휘 센터에 연락하여 네메로프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상호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 이는 갈등 상황에서 대화와 외교적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네메로프와 파울러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공동 연설을 통해 핵 확산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발표하는 장면은 국제 협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이 영화는 핵무기의 위협과 국제 관계의 복잡성을 다루면서, 대한민국에게 균형 외교와 정보력 강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6. 3. 테러리즘

욤 키푸르 전쟁 중 격추된 이스라엘 군용기에서 분실된 핵무기가 네오 나치 단체의 손에 들어가면서, 미국러시아 간 핵전쟁 위기가 발생한다. 중앙 정보국(CIA) 분석가 잭 라이언은 핵무기의 출처를 추적하여 핵전쟁 직전 진실을 밝혀내고 양국 간 충돌을 막는다.

영화는 이러한 테러리즘의 위협을 통해 국제 테러 단체의 위험성과 핵무기 확산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특히 제2차 체첸 전쟁과 같은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현실감을 더하고, 미국과 러시아 같은 강대국 간 갈등을 이용해 전 세계를 위협하는 테러리즘의 위험을 강조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화는 국제 공조와 정보 공유, 핵무기 확산 방지 노력, 테러 방지를 위한 사회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12)" http://www.bbfc.co.u[...] 2002-05-31
[2]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http://www.boxoffice[...]
[3] 웹사이트 Why Tom Clancy's Name Isn't on the Patriot Games Poster https://www.denofgee[...] 2019-06-05
[4] 웹사이트 Harrison Ford takes on Tom Clancy...again https://ew.com/artic[...]
[5] 웹사이트 Mace Neufeld Interview http://www.stumpedma[...] Stumped Magazine 2013-09-05
[6] 뉴스 Playing with perception https://news.google.[...] The Blade (Toledo) 1999-10-06
[7] 웹사이트 Akiva Goldsman talks about THE SUM OF ALL FEARS... http://www.aintitcoo[...] Ain't It Cool News 2000-02-01
[8] 웹사이트 Ford Won't Give in to Sum of All Fears http://www.ign.com/a[...] IGN 2000-06-08
[9] 웹사이트 Affleck attack http://jam.canoe.ca/[...] Jam! 2001-05-21
[10]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A Conversation with Phil Alden Robinson http://www.nitrateon[...] Nitrate Online Feature 2002-05-31
[11]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 IGN https://www.ign.com/[...] 2002-10-18
[12] 웹사이트 Wolf Howls As NBC Yanks "Law & Order" Episode http://www.eonline.c[...] E! News 2001-01-26
[13] 뉴스 Casting Calls Running Down Dreams Productions & The Discovery Times Channel
[14] 웹사이트 "Ben Affleck and Morgan Freeman to Star in 'The Sum of All Fears'; Paramount Presents Fourth Film in Hit Jack Ryan Series." http://www.thefreeli[...] The Free Library 2001-03-07
[15] 간행물 Sum of All Fears – Production Notes http://www.contactmu[...]
[16] 뉴스 On-location vacations: Movies shot in Canada http://entertainment[...] MSN 2012-06-04
[17] 문서 Blu-ray commentary with Phil Alden Robinson and John Lindley
[18] 뉴스 When Hollywood's Big Guns Come Right From the Source https://www.nytimes.[...] 2002-06-10
[19]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Music from the Motion Picture] http://www.allmusic.[...] AllMusic
[20] 웹사이트 Filmtracks: The Sum of All Fears (Jerry Goldsmith) http://www.filmtrack[...] Filmtracks.com 2009-02-15
[21]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album page http://store.lalalan[...]
[22] 뉴스 'Sum of All Fears' tests our post-9/11 threshold for plots http://www.sptimes.c[...] Tampa Bay Times 2002-06-01
[23]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Controversy https://www.foxnews.[...] Fox News Channel 2002-06-03
[24] 뉴스 Col TriStar adds trio of fall vid releases https://variety.com/[...] Variety (magazine) 2002-08-25
[25]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http://www.rottentom[...] 2024-05-18
[26]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http://www.metacriti[...]
[27] 간행물 The Sum of All Fears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8] 웹사이트 529 Reviews by Michael Wilmington of the Chicago Tribune http://www.flicks.co[...]
[29] 뉴스 Review of Sum of all fears http://nymag.com/nym[...] NY Magazine (NYMag)
[30] 뉴스 wHEW! Freeman won't give up acting anytime soon 2002-05-31
[31] 뉴스 The Sum of All Fears http://rogerebert.su[...] 2002-05-31
[32] 뉴스 'The Sum of All Fears': Politically correct with Jack Ryan https://poststar.com[...]
[33] 간행물 'No. 101: "The Sum of All Fears" Falls Victim to Political Correctness' https://www.carolina[...]
[34] 문서 Alford, Reel Power, p 91.
[35] 웹사이트 Review: The Sum of All Fears https://www.slantmag[...] 2002-05-22
[36]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takes US box office by storm https://www.screenda[...] 2022-11-17
[37] 웹사이트 1st Annual VES Awards https://www.visualef[...] 2017-12-20
[38] 웹사이트 The Sum of All Fears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2-04-07
[39] 간행물 映連興行収入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